경기침체 신호 본격화되는 미국, 서울 아파트는 불패?



경기침체 신호 본격화되는 미국, 서울 아파트는 불패?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미국 경기가 침체상태로 진입한 것 아니냐는 경제지표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구매관리자지수가 예상보다 부진한데다 건설투자도 전월 대비 감소했다. ‘계속 실업수당’ 청구건수도 크게 늘어나는 등 미국의 내수를 지탱하는 고용시장도 불안한 상태다. 경기침체의 신호들이 잇따라 등장하자 미국 증시는 기술주 위주로 폭락하는 등 즉각적으로 반응 중이다. 세계경제의 엔진인 미국이 휘청대는데 대한민국은 8월 가계대출 및 주담대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서울 아파트 불패론’을 맹신 중이다. 하지만 거래대금과 거래량은 ‘서울 아파트 불패론’에 불길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건설투자 동반 부진, ‘계속 실업수당’ 청구는 증가

CNBC방송·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3일(현지시간)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한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7.2를 기록해, 5개월 연속 수축 국면에 머물렀다. 이는 전월(46.8)보다는 소폭 개선된 것이지만 다우존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47.9에는 미치지 못한 것이다. 제조업 PMI는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50보다 낮으면 위축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신규 주문 지수는 전월(47.4)보다 낮은 44.6을 기록했고 생산 지수는 전월(45.9)보다 낮은 44.8로 2020년 5월 이후 가장 낮았다. 화물운임 상승 등의 여파로 투입비용 관련 지수는 전월 52.9보다 오른 54.0이었다.

또한 7월 건설투자가 전월 대비 0.3% 줄어들었다는 미 상무부 인구조사국의 발표도 있었다.

미국의 내수를 지탱하는 고용지표도 불안하기만 하다. 8월 18∼24일 기준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한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8월 11∼17일 주간 186만 8000건으로 직전 주보다 1만 3000건 증가했다.

 
뉴욕시 페덱스 사무실의 구인광고. 연합뉴스
뉴욕시 페덱스 사무실의 구인광고. 연합뉴스



속절 없이 녹아내리는 미국 증시

미국 경기가 침체국면에 돌입했다는 지표들이 속속 등장하자 미국 증시는 기술주 위주로 폭락했다.

미 뉴욕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3.26%)를 비롯해 S&P 500지수(-2.12%),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1.51%) 등 3대 지수가 모두 크게 내렸다. 미 증시는 시장참여자들을 경악케 했던 지난달 5일 이후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미국 증시를 견인하던 기술주들의 낙폭이 상대적으로 매우 컸다.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 주가가 9.53% 하락한 것을 비롯해 미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과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는 각각 6.16%와 6.53% 내렸다. 이에 반도체 관련 종목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7.75% 급락했다.

시가총액 1위 애플(-2.72%)과 마이크로소프트(-1.85%), 알파벳(-3.94%), 아마존(-1.26%), 메타(-1.83%), 테슬라(-1.64%) 등 이른바 ‘매그니피센트 7’ 주가도 일제히 1% 이상 하락했다.

 23일 오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증권업자들이 오전 거래를 하고 있다. 이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미국의 금리 인하와 관련해 "때가 왔다"고 말했다. 2024. 08. 23 [AFP=연합뉴스]
23일 오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증권업자들이 오전 거래를 하고 있다. 이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미국의 금리 인하와 관련해 “때가 왔다”고 말했다. 2024. 08. 23 [AFP=연합뉴스]



서울 아파트만 독야청청할 수 있을까?

미국 경기가 침체국면에 본격 진입했다는 지표들이 계속 등장하자 연준이 기준금리를 크게 내릴 것이라는 전망들이 분출하고 있다. 시장에선 그만큼 미국 경기가 예사롭지 않다고 보는 것이다.

그런데 대한민국으로 눈을 돌리면 완전히 딴 세상이다. 가계대출이 역대 최대치를 찍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8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725조 3642억 원으로, 7월 말(715조 7383억 원)보다 9조 6259억 원 불었다. 5대 은행에서 확인할 수 있는 2016년 1월 이후 시계열 가운데 월 기준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 잔액도 568조 6616억 원으로 7월 말(559조 7501억 원)보다 8조 9115억 원 늘었다. 역시 2016년 이후 최대 월간 증가 규모다. 신용대출도 한 달 만에 8494억 원(102조 6068억 원→103조 4562억 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신용대출까지 최대한 끌어 쓰면서 3개월 만에 반등했다.

세계경제의 엔진인 미국의 경기가 식기 시작했고, 국내 경제는 민간소비ㆍ투자ㆍ정부지출ㆍ순수출 등의 모든 부면에서 붕괴 중인데 서울 아파트 불패를 믿고 ‘빚투’와 ‘영끌’에 나선 이들이 너무나 많다는 것이 8월 가계대출 폭증세로 증명됐다.

과연 서울 아파트는 불패일까? 시간이 증명해 줄 것이다. 일단 시장의 선행지표라 할 평균 거래금액(7월 12억 1943만 원 → 8월 11억 1144만 원)과 거래량(7월 8755건 → 9월 3723건)은 ‘영끌러’와 ‘빚투족’에게 그리 우호적이지 않다.    




<시민언론 민들레 2024년 9월 5일>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