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세제민학 – 헨리조지 저 / 김윤상 역

bfcfed637596d1d9c0af60d16107f089_1689214
 

헨리 조지 저자(글) · 김윤상 번역
경북대학교출판부 · 2023년 06월 20일
헨리 조지(Henry George, 1839~1897)는 19세기 미국의 토지개혁가, 저술가, 언론인이다. 40세 되던 해에 「진보와 빈곤」(Progress and Poverty, 1879)을 세상에 내놓으면서 단숨에 세계적 명사가 되었고, 그 후에도 평생을 토지 제도 개혁을 위해 헌신하였다. 1891년에는 당시의 경제학을 비판하면서 자신의 사상을 경제학 체계에 맞추어 서술하는 작업을 시작하였는데 그 결과가 바로 이 책의 원저인 Political Economy이다. ‘Political Economy’를 그대로 번역하면 ‘정치경제학’이다. 그러나 요즘 정치경제학이라는 용어는 마르크스 경제학을 지칭하기도 하고 정치 현상에 관한 경제학이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역자는 이 책의 제목을 ‘정치경제학’이라고 하면 헨리 조지의 경제사상에 대해 오해가 생길까 우려하여 ‘경세제민학’이라고 번역하였다.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한다는 뜻인 ‘경세제민’은 헨리 조지의 사상과 잘 어울리는 표현이다. 역자가 번역의 저본으로 삼은 책은 미국 헨리 조지 연구소(Henry George Institute)의 린디 데이비스(Lindy Davies) 소장이 원저의 핵심만을 발췌하여 2004년에 출판한 축약본이다.
이 책에 담긴 헨리 조지의 경제사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치경제학은 개별 경제주체가 아닌 사회 전체의 관점에서 부의 생산과 분배에 관한 자연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자연법에 따르면 인간이 생산하지 않은 토지와 토지가치는 사적 소유 대상이 아니며, 이 자연법을 어기면 부당한 빈부격차가 발생하고 문명이 쇠퇴한다.”
이 책은 원저의 축약본이지만 그래도 본문을 읽기 전에 빨리 헨리 조지의 경제사상을 파악하고 싶은 독자를 위해 핵심 문장을 뽑아 목차 바로 다음에 배치해 두었다. 헨리 조지의 경제사상은 제6장(부의 분배)까지만 읽어도 핵심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만, 화폐론 부분도 번역하여 보론으로 배치해 두었다. 아울러 원저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원저의 저자 서문, 출판 경위, 원저와 축약번역본의 구성을 비교하는 표를 부록으로 실어 두었다.




목차 

  • 머리말
    이 책의 핵심 문장 맛보기

    총론: 이 책을 쓰는 이유

    제1장 인간과 문명
    1. 인간과 세계
    2. 더 거대한 리바이어던
    3. 문명의 의미
    4. 문명의 기원
    5. 지식과 기량

    제2장 정치경제학이란?
    1. 자연법
    2. 학문과 자연법
    3. 정치경제학의 의의와 범위
    의의
    범위
    4. 정치경제학의 연구 대상과 기본 법칙
    연구 대상
    기본 법칙
    5. 정치경제학 연구 방법
    6. 학문인가, 기술인가?

    제3장 정치경제학의 발전과 붕괴
    1. 부의 의미에 관한 혼동
    2. 혼동의 원인
    3. 정치경제학의 발생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케네와 중농주의자
    애덤 스미스와 중농주의자
    4. 정치경제학의 변천 Ⅰ
    5. 정치경제학의 변천 Ⅱ
    토지
    자유무역
    사회주의
    6. 정치경제학의 붕괴

    제4장 부의 본질
    1. 사용가치와 교환가치
    2. 정치경제학의 부
    3. 부와 서비스
    4. 부와 자본
    5. 부와 도덕
    6. 부의 존속 기간

    제5장 부의 생산
    1. 생산의 세 가지 방식
    생산의 의미
    생산의 세 가지 방식
    2. ‘수확 체감의 법칙’의 문제점
    3. 공간과 시간
    공간과 생산
    시간과 생산
    4. 협업과 분업
    5. 지시된 협동과 자발적 협동
    6. 교환과 경쟁
    7. 생산의 3요소
    토지
    노동
    자본

    제6장 부의 분배
    1. 분배의 의미
    2. 분배의 본질
    3. 물리 법칙과 도덕 법칙
    4. 재산권의 근거
    5. 재산권에 관한 혼동과 그 원인

    보론 화폐에 관한 헨리 조지의 견해
    1. 화폐에 관한 혼동
    2. 화폐에 대한 상식적 이해
    3. 교환의 매개물, 가치의 척도
    4. 신용의 역할
    5. 화폐의 변천
    6. 실물화폐와 신용화폐

    부록 1. 저자 서문
    2. 출판 경위
    3. 원저와 축약 번역본의 구성 비교
    4. 헨리 조지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