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금리인하 시점 ‘갑론을박’…물가·고용이 관건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내부에서 금리인하 시기와 관련해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7월 금리인하에 대해 파월 연준의장은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한 반면, 매파로 분류되는 보먼 연준 부의장은 지지하는 등 의견이 엇갈린다. 미국 국채가격은 7월 기준금리 인하설 등에 영향을 받아 오름세로 전환됐다. 연준 내부에서 이견이 맞서고 있지만, 결국 물가 및 고용지표가 금리 인하시점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파월 “기존의 입장이 변한 것 없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24일(현지시간) 연방 하원 재무위원회의 반기 통화정책 보고 청문회에서 “우리는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본다”며 기존의 관망(wait and see) 입장을 재확인했다. 파월 의장은 기존 관점을 고수하는 이유로 “경제가 여전히 강하기 때문이다. 고용 시장은 강하다”고 언급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고용, 인플레이션, 성장 등 경제에 미칠 영향이 더 뚜렷해질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는 의미다.
또한 이날 공개 발언에 나선 연준 인사들도 파월 의장과 비슷한 견해를 피력했다.
마이클 바 연준 이사는 “실업률은 낮고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로 향하는 등 경제가 안정적인 기반 위에 있다지만, 앞으로는 관세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단기 인플레이션 기대치 상승, 공급망 조정 및 2차 효과가 일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관세가 성장 둔화와 실업률 상승을 초래할 수 있지만, 정책과 영향에 대한 상당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도 “두세 달의 인플레이션 지표는 매우 긍정적이었는데 물가 안정화 경로가 순조롭게 진행 중임을 시사한다”면서도 “관세의 완전한 영향을 아직 확인하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의 정책 전망을 대폭 변경하기 전에 실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시간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연준이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지난 4월 2.5%였지만, 이달 18일 공개된 연준의 ‘수정 경제전망’은 3.0% 상승을 예상했다.

연준 내부에선 7월 기준금리 인하 의견도 대두돼
반면 연준 인사 중 가장 매파 성향(통화긴축 선호)으로 평가되는 미셸 보먼 연준 부의장은 전날 이르면 7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시사해 눈길을 끈다. 보먼 부의장은 올해 2월까지만 해도 공개 발언에서 인플레이션이 다시 높아질 위험이 있다며 공개 석상에서 매파 발언을 이어왔다. 이런 보먼이 오히려 최근 환경 변화를 감안해 온건 완화 기조에 무게를 싣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먼 부의장은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체코 중앙은행 주최 콘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억제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이르면 다음 (7월) 회의에서 금리인하를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 경제 상황에 대해선 “현시점에서 우리는 무역 관련 상황 전개나 기타 요인들로부터 의미 있는 경제적 영향을 보지 못했으며, 성장세가 다소 둔화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는 지속해서 회복력을 보여왔다”고 평가했다. 물가 상황에 대해선 “높은 관세로 인한 재화 가격 상승 압력은 다른 요인들로 상쇄되고 있다”며 “또한 근원 PCE 지표의 기저 추세는 현재 지표로 보이는 것보다 2% 목표에 훨씬 가까워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보먼 부의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작고 일회성 물가 상승만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무역 협상에 따라 궁극적으로 현재보다 낮은 관세율로 귀결될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는 금융 시장에서 나타나는 낙관론의 재개와 일치한다”며 “나아가 올해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을 보더라도 미국 경제의 성장한 여력이 그 영향을 작고 일회성으로 제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평가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의사도 지난 20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7월 FOMC 회의 때 금리인하를 고려하기 시작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월러 이사는 “다음 통화정책 회의에서 금리인하를 고려하기 시작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에 찬성한다”며 “고용 시장이 급락할 때까지 기다린 뒤 금리인하를 개시하는 것은 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6개월간 관망하며 기다려왔고, 지금까지 지표는 양호했다”며 “관세 영향이 나중에 오더라도 일회성에 그치고,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을 야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월러 이사는 온건한 매파 성향으로 평가된 인물로, 월가에서는 그가 공개 발언을 할 때마다 기존 발언 대비 입장 변화가 있는지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기준금리 인하설에 자극받아 미 국채가격은 반등
미 연준 일부 인사들이 ‘7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한데 힘입어 미 국채 가격이 고개를 들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한국시간 25일 오후 4시 10분 기준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전장 대비 1.6bp(1bp=0.01%포인트) 내린 4.279%에서 움직이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국채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국채의 랜드마크 격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일방적 관세정책과 미국 재정적자에 대한 우려 속에 지난달 21일 4.599% 정도까지 올랐지만 이후 하락세를 그리고 있다. 정책 금리에 민감한 2년물 미 국채 금리는 3.781%, 지난달 ‘심리적 저항선’인 5%를 넘어섰던 30년물 미 국채 금리는 4.815% 수준이다.
시장에선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일부 인사들이 기준금리 ‘7월 인하’ 가능성을 거론한 것이 국채 금리 하락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에서는 7월보다 9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지만, 스왑 시장에서는 지난주 0%에 가까웠던 7월 인하 가능성이 10% 정도로 올라온 상태다.
![달러 [연합뉴스 자료사진]](https://cdn.mindlenews.com/news/photo/202506/14253_46258_3938.jpg)
물가 및 고용지표가 기준금리 인하시기를 결정할 듯
연준 내부에서 기준금리 인하시점에 대해 이견이 맞서는 가운데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결정짓는 건 결국 물가와 고용지표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물가 및 고용지표가 확연히 그리고 추세적으로 경기하강을 지시한다면 기준금리 인하시점은 빨라질 것이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9월 인하도 어려울 수 있다.
주목할 대목은 트럼프가 벌이고 있는 글로벌 관세전쟁의 폭과 강도다.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찻잔 속의 태풍에 그칠지, 아니면 정말 태풍으로 변해 글로벌 교역시장을 강타할지 여부에 따라 미국의 물가 및 고용지표가 큰 영향을 받을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