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 칼럼] 파월 의장, 긴축 기조 유지 재천명…시장 큰 동요 없어



파월 의장, 긴축 기조 유지 재천명…시장 큰 동요 없어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5일(현지시간)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아직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면서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파월 의장은 정책환경의 불확실성에 대해 토로하면서도 기준금리 인하 신호는 전혀 드러내지 않았다. 파월의 작년 잭슨홀 미팅 발언 당시 발작을 일으켰던 것과는 달리 금융시장은 잠잠한 편이다.

 


잭슨홀 연설에서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 시사한 파월 의장

파월 의장은 이날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주최로 열린 경제정책 심포지엄 개막 연설에서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우리는 기준금리를 추가로 올릴 준비가 돼 있다”며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고 확신할 때까지 긴축적인 수준에서 통화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또한 그는 “작년 잭슨홀 연설에서 짧고 단도직입적인 메시지를 냈다”며 “올해 연설은 조금 더 길겠지만 메시지는 똑같다”라고 말했다. 그는 현 물가 수준에 대해 “인플레이션이 고점에서 하락(작년 6월 9.1%에서 올 7월 3.2%로 하락)한 것은 반가운 진전이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진단하면서 “물가가 목표치를 향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신뢰를 구축하는 것의 시작에 불과하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한미 기준금리 추이

한미 기준금리 추이

 


한편 그는 경제전망과 관련해 “팬데믹 관련 왜곡이 완화되면서 인플레이션에 하방 압력을 주고 있는 상황”이라면서도 “그럼에도 긴축적인 통화정책은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연준이 추가 긴축에 나설 수 있는 요인으로 노동시장과 성장률을 꼽았다. 파월 의장은 “노동시장 재균형이 지속되고 있다고 기대한다”라면서도 “노동시장 과열 완화가 지속되지 않는다는 증거가 나온다면 이 역시 통화정책의 반응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그는 성장률 전망과 관련해 “우리는 경제가 기대만큼 냉각되지 않을 수 있다는 신호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며 “추세를 상회하는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증거가 추가될 경우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을 키울 수 있으며 이는 추가적인 긴축 정책을 담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선 일축한 파월

파월 의장은 경제계 일각에서 경제의 구조적 변화를 반영해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현 수준인 2%보다 올릴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데 대해 연준의 물가상승률은 목표치인 2%를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골 넣기가 어려우니 골대를 옮기자’는 요구에 대해 골대를 옮기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또한 그는 “좀 더 긴축하거나, 혹은 일단 현재 상태를 유지한 채 추후 데이터를 기다릴지는 그때(FOMC회의) 가서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는데, 이 발언엔 금리 인하 가능성이 들어설 자리가 없다. 파월의 발언을 통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9월 FOMC에서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진 셈이다.
 

작년과 달리 시장은 대체로 조용한 반응

파월 의장은 지난해 잭슨홀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기업과 가계에 고통을 줄 수밖에 없다”며 “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있다는 확신이 설 때까지 높은 금리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월의 발언 직후 미국 증시는 급락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파월의 매파적 발언이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증시와 채권시장 모두 강보합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는 시장이 파월의 매파적 발언을 이미 예상하고 있었던 결과로 보인다.

한편 파월의 이번 발언 여파로 CME 페드워치(FedWatch) 기준 9월 금리 동결 가능성은 82.5%로 우세했지만, 다음 회의인 11월 연 5.75%까지 추가 인상할 가능성은 44.4%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언론 민들레 2023년 8월 26일>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