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베일리 최고가 찍은 지 보름만에 10억 넘게 폭락?



원베일리 최고가 찍은 지 보름만에 10억 넘게 폭락?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불과 2~3일전 레거시미디어를 도배한 기사 중 하나가 바로 반포 한강변에 위치한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 84㎡ 아파트가 60억 원에 거래됐다는 것이었다. 평당 2억원에 가까운 금액에 사람들은 경악했다. 레거시미디어는 현재 아파트 시장이 새로운 대세 상승장에 진입했다는 증거로 래미안 원베일리 국민평형 60억 원대 거래성사를 앞다퉈 보도했다. 하지만 부동산정보사이트 아실에서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 84㎡ 매매현황을 보면 60억 원 거래 체결 이후 48억 원과 50억 원 거래가 체결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레거시 미디어는 이들 거래에 대해서는 철저히 침묵 중이다. 한편 대한민국 아파트 시장의 중핵이라 할 서울 아파트 시장은 매물량이 가파르게 늘고 평균 거래금액과 거래량이 눈에 띄게 하락하는 등 변곡점에 진입한 기색이 역력하다. 데드캣 바운스의 약발이 끝나가는 것 아닐까 싶다.


래미안 원베일리 국평 최고가 대비 10억 이상 하락거래…언론은 함구

이삼일 전 레거시미디어를 떠들썩하게 만든 보도가 있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래미안 원베일리 국평이 60억 원을 찍으면서 한 달 만에 ‘국민평형'(국평) 역대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웠다는 보도다.

1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면적 84㎡(34평형) 9층이 지난 8월 2일 60억 원에 손바뀜했다. 3.3㎡당 가격으로 따지면 1억 7600만 원선으로 ‘국평’ 아파트 중 역대 최고가다. 특기할 건 아직 등기가 되기 전이라는 사실이다.

놀라운 건 원베일리 국평 60억 원 신고가 보도를 하며 흥분을 하던 레거시 미디어가 60억 원 거래 이후 체결된 48억 거래와 50억 거래에 대해선 침묵의 카르텔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9634_30896_3957.jpg



위의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아실을 보면 알 수 있듯 래미안 원베일리 국평은 8월 2일 60억 최고가 매매가 성사된 이후 16일 48억 원, 19일 50억 원 거래가 각각 있었다.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 사이트에 48억 원 및 50억 원 거래가 아직까지 올라오지 않은 건 맞지만, 모든 레거시 미디어들이 최고가 대비 10억~12억 원이 폭락한 거래사실에 대해 함구하는 건 기이하다. 혹시 서울 아파트 시장에 찬물을 끼얹는 거래여서 그런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서울 아파트 시장 에너지 고갈…매물량 급증에도 거래금액·거래량 줄어

한편 서울 아파트 시장에도 유의미한 변화가 포착되고 있다. 7월에 7만 6000건 대까지 떨어졌던 서울 아파트 매물량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9월 13일 현재 서울 아파트 매물은 8만 3468건까지 올라왔다. 상승 속도가 눈에 띄게 빠르다.
 

 서울 아파트 매물추이, 출처 : 아실

서울 아파트 매물추이, 출처 : 아실

 

또한 서울 아파트 시장은 시장의 선행지표라 할 평균거래금액과 거래량도 완연히 꺾이고 있다. 
 

서울 아파트 평균거래금액 및 거래량, 출처 :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서울 아파트 평균거래금액 및 거래량, 출처 :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위의 그래프가 잘 보여주듯 서울 아파트 시장은 에너지가 고갈된 기색이 역력하다. 평균 거래금액의 하락(7월에 비해 8월은 1억 원 가까이 하락)은 저가 아파트 위주로 거래가 성사되고 있다는 뜻이고, 거래량의 급락(8800건을 넘었던 7월에 비해 8월은 5000건 초반대를 기록)은 시장 내면의 에너지가 다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해도 무리가 아니다.

최고가를 찍은 아파트 시장의 대장아파트 래미안원베일리가 10억 원 이상 폭락한 거래가 나왔다는 사실, 매물량이 빠르게 늘고 있다는 사실, 평균 거래금액과 거래량이 괄목하게 하락한다는 사실 등이 의미하는 건 자명하다. 서울 아파트 시장이 데드캣 바운스를 마치고 변곡점에 도달했다는 사실이 그것이다.  


 

 



<시민언론 민들레 2024년 9월 14일>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