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외로 탄탄한 고용…미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 높아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트럼프발 관세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미국 경제를 지탱하는 고용은 매우 견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미국 신규 일자리가 시장의 전망치를 훌쩍 넘어섰다. 거기에 더해 미국 내수의 기저 모멘텀을 잘 보여주는 국내 민간 구매자에 대한 최종 판매 등 다른 경제 지표도 퍽 양호한 것으로 발표됐다. 미국 경제가 의외로 탄탄한 것으로 확인된만큼 다음 주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이 압도적으로 높아졌다.
4월 미국 신규일자리 무려 17만 7000개나 늘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일(현지 시간) ‘해방의 날’이라며 고율 관세를 발표한 이후, 첫 고용보고서에서 미국 4월 일자리는 예상치를 상회하는 17만 7000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실업률은 4.2%로 전달과 비교해 변화가 없었다.
앞서 로이터는 4월 비농업 부문 신규 일자리가 13만 3000개 증가했을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는 로이터의 전망치 보다 무려 4만 개 이상 증가한 것이다. 최근 12개월간 월 평균 일자리 증가치는 15만 2000개다.
주지하다시피 미국 경제를 지탱하는 기둥은 소비다. 그런데 소비가 호조를 보이기 위해서는 고용지표가 좋아야 한다. 연준 등을 비롯한 미국의 경제당국과 시장이 미국 고용지표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건 이 때문이다. 4월 비농업 부문 신규 일자리가 시장의 전망치를 훌쩍 넘어섰다는 건 미국 경제가 여전히 호조라는 뜻이다.

판매 관련 지표도 매우 호조 보여
고용지표만이 아니다. 내수도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내수의 기저 모멘텀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잣대인 국내 민간 구매자에 대한 최종 판매(final sales to private domestic purchasers)는 3.0% 증가하며 작년 4분기(+2.9%)보다 증가 폭이 높아졌다.
물론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헤드라인(-0.3%, 직전 분기 대비 연율)만 보면 3년 만에 마이너스이긴 했다. 하지만 이는 관세 부과 이전 수입을 서두르려는 움직임 때문이다. 즉 상품 수입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다. 거기다 산불 여파도 악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달은 기준금리 동결 확실시 돼
이제 시장의 관심은 7일(현지 시간)열리는 FOMC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지에 쏠려 있다. 시장에서는 4월 고용보고서를 계기로 상반기 중 금리 인하는 없다는 쪽으로 컨센서스가 형성된 상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시장은 3일(현지 시간) 오전 7시 41분께 연준이 다음주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97.2%로 가격에 반영했다. 트럼프의 거듭된 기준금리 인하 압박도 별 소용이 없을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물론 연준의 기준금리 향방만이 아니라 미국의 경제지표들을 요동치게 할 변수들은 허다하다. 당장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어디로, 어떻게 전개될지 누구도 가늠할 수 없는 국면이다. 트럼프발 관세전쟁은 부과와 유예와 완화와 재부과 사이를 쉼없이 왕복 중이다.
미국이야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으니 그렇다치고 6월 3일 열리는 조기 대선에서 민주적 리더쉽을 세우는 것이 우리나라에 무엇보다 긴절한 과제다. 그래야 관세건, 무역이건, 환율이건 제대로 된 대응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