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경의 경제 제대로 보기]
꺾일 줄 모르는 인플레이션, 자이언트 스텝을 견인한다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보다 8.2%상승해 시장의 예상을 상회했다. 심지어 근원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6.6%상승했는데 이는 40년 만의 최고치다. 도무지 꺾이지 않는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미 연준이 긴축적 통화정책 드라이브를 지속할 가능성이 압도적으로 높아졌다.
시장의 예상을 넘은 미국 CPI, 40년 만에 최고를 찍은 미국 근원 CPI
미 노동부는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8.2%, 전월보다 0.4% 각각 올랐다고 13일(현지시간) 발표.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전년 동월 대비 8.1%, 전월 대비 0.3%)를 각각 소폭 상회한 것.
시장에 더 큰 충격을 준 건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미 연준이 소비자물가지수 보다 더 정확한 물가지표로 간주하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6.6%, 전월보다 0.6% 각각 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1982년 8월 이후 40년 만의 최대폭 상승임.
연준이 11월 FOMC에서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하는 건 기정사실
도무지 꺾이지 않는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달 초 열릴 FOMC에서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이렇게 되면 연준은 4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밟게 됨과 동시에 미국의 기준금리는 상단이 4%가 됨. 한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는 미국의 기준금리 상단 기준 1%로 벌어짐.
시사점
미 연준이 상단 기준 0.25%이던 기준금리를 불과 6개월만에 3.25%까지 끌어올렸음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은 잡힐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음.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는데 사활을 걸고 있는 만큼 기준금리의 추가인상은 정해진 수순.
주목할 건 선물 시장에 반영된 내년 3월 금리 전망치. 시장에서는 내년 3월 미국의 기준금리가 4.75%~5.0%에 이를 가능성을 45% 가까이 예측하고 있음. 이는 지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미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공개한 전망치(올해 말 4.4%(중간값), 내년 말 4.6%)를 웃도는 것.
미국의 기준금리가 올해 말 ~ 내년 초에 4.5%를 상회할 것이 거의 확실시되는 만큼 불과 몇일 전 기준금리를 3.0%로 올린 한국은행의 고민도 깊어질 수 밖에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