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경의 경제 제대로 보기] 시장을 충격과 공포에 빠트린 파월의 발언

[이태경의 경제 제대로 보기] 

 

 

 

 

 

 

시장을 충격과 공포에 빠트린 파월의 발언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미 연준이 또다시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했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는 3.75~4.00%에 도달했다. 연준의 자이언트 스텝은 시장의 컨센서스가 형성됐던 일이었지만 정작 시장을 충격과 공포에 빠지게 만든 건 “최종금리 수준은 이전에 예상한 것보다 높을 것”이라는 파월의 발언이었다.
미국의 기준금리 상단이 4%에 도달
 
미 연준이 2일(현지시간) 오후 이틀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종료 후 성명을 통해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고 공표. 이에 따라 미국의 기준금리는 3.75%~4%로 높아졌고, 이는 2008년 1월 이후 최고 수준.

시장이 반색한 건 연준의 결정문에 긴축적 통화정책의 변화에 대한 단서가 담겨 있다고 여겼기 때문. 연준은 “향후 금리인상 속도를 결정할 때 통화정책의 긴축 누적, 통화정책이 경제 활동과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지연, 그리고 경제와 금융발전 측면을 고려할 것”이라고 밝힌데 이어 “위원회는 목표 달성을 저해할 수 있는 위험이 발생할 경우 통화정책을 적절히 조정할 준비가 돼 있을 것”이라고도 밝힘. 즉 시장은 이를 이른바 연준 피벗(Fed pivot)의 단서로 해석함.

    *  연준 피벗(Pivot) :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통화정책의 접근방식을 전면적으로 전환하는 것.  



파월의 발언에 산산조각 난 시장의 기대


연준 결정문에 반색했던 시장의 기대는 파월의 발언과 함께 산산조각 남. 파월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난 9월 회의 이후 나온 데이터는 궁극적인 수준의 금리가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높아질 것임을 시사한다” “아직 가야 할 길이 남아있다”고 발언함. 또한 그는 “금리인상을 일시적으로 멈추는 것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매우 시기상조”라고 단언.

시장에서는 파월의 발언에 대해 9월 점도표에서 제시된 내년 기준금리인 4.6%를 넘어 5%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 해외 주요 투자은행(IB) 등 시장 전문가들은 미 연준의 내년 최종 금리가 5.0 ~5.5%에 달할 것으로 전망.


시사점


파월의 발언을 통해 이른바 연준 피벗(Fed pivot)에 대한 기대감은 소멸됨. 물가의 극적인 급락이나 성장 및 고용 지표의 충격이 가시화되지 않는 한 연준이 12월 빅스텝을 포함해 내년에도 0.25%씩 기준금리를 여러 차례 올릴 것이 확실시 됨. 기준금리의 최종목표치와 인상 기간 양면에서 시장이 가장 우려하던 일이 벌어지는 셈.

내년 미국의 기준금리가 5.0~5.5%수준에서 최종 결정된다면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최소 4.0~4.5%까지는 올려야 함. 만약 원달러 환율이 요동친다면 기준금리를 더 올려야 할 수도 있음.

IMF등을 위시한 모든 국제기구와 투자은행 등이 내년도 경기침체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는 마당에 고금리 기조를 유지할 수 밖에 없는 설상가상의 상황이 한국경제에 도래하는 것.

고금리 쓰나미가 김진태발 레고랜드 사태로 초토화된 금융시장, 무너지고 있는 부동산 등 자산시장,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의 한계기업 및 가계부채에 허덕이는 가계를 강타할 것이 명약관화.


 

 

<세이버 2022년 11월 4일>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