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공언한 한은총재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한국은행 금통위(금융통화위원회)가 25일 기준금리를 0.25%p올려 2.5%로 만들었다. 이창용 한은총재는 물가중심의 통화정책 운용을 강조하며 기준금리의 추세적 인상기조를 재확인했다.
기준금리 25bp인상 보다 중요한 건 기준금리의 추세적 인상 기조 확인
25일 한국은행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2.25%에서 2.5%로 0.25%올렸다. 금통위원 전원의 만장일치 결정이었다. 금통위의 0.25%인상결정은 시장의 전망치와 정확히 맞아떨어지는 수준.
그 보다 중요한 건 금통위 정례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창용 한은총재가 한 발언들. 이 자리에서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 배경에 대해 “현 경제 상황이 지난 7월 예상했던 국내 물가, 성장 흐름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만큼 지난달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제시했던 바와 같이 25bp(1bp=0.01%포인트)의 점진적 인상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발언.
또한 이 총재는 “당분간 물가 중심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하고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며 “물가는 5∼6%대의 높은 상승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산 억제와 고물가 고착 방지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 “5∼6%대의 높은 소비자 물가 오름세가 내년 초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발언.
한편 이 총재는 “(기준금리를)당분간 25bp씩 인상하겠다는 것이 기조”라고 말했는데, 이는 경기 하방 불확실성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9월 결정 등을 고려하면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인상할 것을 검토하겠다는 의미. 이 총재는 연말 기준금리를 2.75∼3.00% 수준으로 보는 시장의 기대에 대해서는 “합리적”이라고 평가.
시사점
금통위는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25%p인상. 이로써 기준금리는 2.5%에 도달. 시장이 주목한 건 금통위가 성장과 물가안정 가운데 어디에 방점을 찍을지였는데, 이창용 한은총재의 발언이 증명하듯 금통위는 성장률이 심각하게 하락하는 불측의 사태가 전개되지 않는 한 당분간 물가안정에 총력을 경주할 태세. 이제 연말 기준금리가 2.75~3.00%에 도달하는 건 기정사실에 가까움.
관건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언제쯤 수그러들지 임. 물가상승률이 한국은행이 기대하는 수준(통상 중앙은행이 기대하는 물가상승률은 2%내외)으로 내려오거나 적어도 물가가 확연히 추세적 하락기조로 접어드는 지표들이 확인되지 않는 한 금통위가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는 건 여의치 않은 상태임.
따라서 이제는 기준금리가 어디까지 올라갈지 보다는 3%안팎에 달하는 기준금리가 언제까지 유지될지를 물가와 성장율 등의 거시지표를 주시하며 관찰해야 함. 기준금리가 3%내외에 머물러 있는 한 부동산 시장이 활기를 찾기란 난망할 것으로 판단됨.
Drop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