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자이언트 스텝이냐? 빅스텝이냐?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자이언트 스텝이냐? 빅스텝이냐?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7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8.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월인 6월의 9.1%에 비해 크게 떨어진 것으로 일각에선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고 내려온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소비자물가상승률이 80년대 초를 방불케 할 만큼 여전히 높기에 9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얼마만큼 올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미국의 CPI, 정점을 찍었나?


10일 미국 노동부는 지난 7월 CPI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8.5%로 나타났다고 발표. 지난 6월 수치(9.1%)와 비교해서는 물론이거니와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다우존스 등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8.7%조차 하회하는 수준.

CPI 상승률은 지난해 1월과 2월만 해도 각각 1.4%, 1.7%로 연방준비제도(Fed) 목표치(2.0%)를 크게 하회. 그러다 올해 들어 7.5%(1월)→7.9%(2월)→8.5%(3월)→8.3%(4월)→8.6%(5월)→9.1%(6월)로 수직상승. 그러다 7월에 8.5%로 내려옴. 사정이 이렇다보니 일각에선 인플레이션이 정점(peak out)을 통과한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음. 이런 주장의 이면에는 9월 열릴 FOMC에서 기준금리가 자이언트 스텝(0.75%)이 아니라 빅스텝(0.5%)로 결정되었으면 좋겠다는 자산시장의 기대가 도사리고 있음.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율


그러나 인플레이션 정점론을 거론하기는 성급하다는 주장도 단단한 근거가 있음. 우선 1980년대 초에 견줄 만한 CPI 상승률(8.5%), 유가를 제외한 나머지 종목들은 여전히 고공행진을 지속중이라는 점, 유가가 폭등할 위험성이 상존한다는 점, 미국 내 임금 인플레이션은 한창 진행 중이라는 점, 근원물가가 여전히 잡히지 않고 있다는 점 등이 그 근거들.


시사점


비록 7월 미국의 CPI가 6월 보다는 내려왔지만 여전히 절대수준 자체가 연준의 기대치인 2.0%와는 갭이 너무 큼. 거기다 유가의 방향성을 예단하기 어렵고 미국의 고용지표가 활황이라는 점 등을 감안할 때 7월 CPI만을 가지고 9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빅스텝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전망하는 건 경솔함. 물가, 유가, 고용 관련 지표들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게 필요한 시점으로 보임.






<세이버 2022년 8월 11일>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