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본격적으로 유동성 흡수에 나서는 미 연준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미 연준 의장이 인플레이션 파이터를 자처하며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분명히 한데 이어 연준이 9월부터 양적긴축(QT)를 최대로 늘리기로 했다.
9월부터 950억달러씩 양적긴축에 돌입하는 미 연준
29일(이하 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연준은 다음 달부터 매달 국채 600억달러와 주택저당증권(MBS) 350억달러 등 950억달러(약 128조원)의 보유 자산을 만기가 도래하면 상환하고 재투자하지 않는 방식으로 감축할 방침. 연준은 2020년 코로나펜데믹에 따른 경기침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기준금리를 0%까지 인하하는 한편 국채와 MBS 매입을 통해 보유 자산을 약 9조달러(약 1경2천조원)까지 늘리면서 시장에 천문학적 유동성을 공급. 실효하한까지 내려간 기준금리와 유사 이래 최대 규모의 양적 완화는 유동성 홍수를 야기했고, 그 결과 부동산, 주식, 가상화폐 등의 자산가격이 폭등함.
한편 연준은 양적완화를 중단한 데 이어 지난 6월 월 475억달러(약 64조원) 규모로 양적긴축을 단행. 그러다 이번달부터 양적긴축의 규모를 월 950억달러까지 늘리기로 결정.
연준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 방침을 분명히 하고 대규모 양적긴축까지 병행하자 미 증시는 연일 폭락 중. 흥미로운 건 증시 폭락 사태와 관련해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총재가 블룸버그와 한 인터뷰에서 “파월 의장의 연설이 (시장에서) 받아들여지는 방식을 보고 사실 기뻤다”고 발언한 대목. 시장참가자들 입장에서는 화가 날 수도 있는 닐 카시카리 총재의 발언은 시장이 이제야 비로소 연준의 물가안정 의지가 얼마나 확고한지를 분명히 인식했음을 확인한 연준 고위직의 심정으로 봐야 할 듯.
시사점
기대인플레이션을 꺾는데 명운을 걸고 있는 연준은 기준금리 인상과 더불어 대규모 양적 긴축을 병행하고 있음. 이는 양적 긴축이라는 더 직접적인 유동성 흡수 방안까지 동원해 기대인플레이션을 조기에 잡으려는 연준의 의지가 얼마만큼 강력한지를 방증한다 할 것임.
발작에 가까운 반응을 보이는 미 증시와 가상화폐 시장을 보면 시장참가자들이 연준의 인플레이션 제압 의지가 얼마나 단단한지를 지금에서야 명확히 인식한 것으로 파악됨. 아울러 특단의 사정이 발생하지 않는 한 연준이 통화정책 기조를 완화로 트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점, 따라서 자산시장의 침체도 길어질 것이라는 점을 시장참여자들이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방증. 저성장이 고착된 선진국의 경우 유동성의 깊이가 자산시장의 향배에 결정적인 요인이 될 수 밖에 없음.
Drop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