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 칼럼] 흥행 어려움을 겪는 미 국채…시장금리 어디로?




흥행 어려움을 겪는 미 국채…시장금리 어디로?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이라는 미국 국채가 시장에서 잘 소화되지 않고 있다. 미 재무부가 국채 발행에 나섰지만 연달아 경매흥행에 실패하고 있는 것이다. 미 정부가 멀지 않은 장래에 빚더미에 깔려 질식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우려, 견조하기 이를 데 없는 인플레이션의 존재 등이 미 국채에 대한 시장의 수요를 위축시키고 있다. 시장 일각에선 미 국채의 랜드마크격이라 할 10년물 수익률이 6%를 터치할 수도 있다는 경고까지 나오는 중이다. 미 국채수익률은 시장금리의 토대이기 때문에 향방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연달아 경매시장에 나온 미 국채, 시장의 반응은 냉담 

 

29일(현지시간) 440억달러 규모의 7년 만기 미 국채 입찰이 끝나자 국채수익률이 일제히 상승했다. 7년 만기 국채 응찰률이 이전 평균치인 2.53배보다 낮은 2.43배로 나와 흥행에 실패해서다. 이날 오전까지 연 4.5%대를 유지하던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입찰 결과가 나온 오후 1시 이후 연 4.6%를 넘어섰다. 기준금리 동향을 반영하는 2년 만기 금리는 7년 만기 경매 발표 직후 연 5%를 돌파하기도 했다.

 

미 재무부를 실망시킨 건 전날 이뤄진 2년 만기와 5년 만기 국채 입찰도 흥행에 실패했다는 사실이다. 690억달러 규모의 2년 만기 경매에서 응찰률은 2.41배로 최근 6회 평균(2.59배)보다 낮았다. 700억달러의 5년 만기 응찰률도 2.3배로 평균(2.41배)에 못 미쳤다.

 

시장은 이틀간 1800억달러 상당의 미국 국채가 한꺼번에 쏟아져 나와 국채시장이 제대로 소화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했다. 크리스 자카렐라 인디펜던트어드바이저얼라이언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시장은 이번 경매를 통해 나온 국채를 소화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미 대선을 앞두고 미 국채 발행 물량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점이다. 미국 재무부가 이달 1일 발표한 국채발행계획(5~7월)에 따르면 6월과 7월에도 각각 3150억달러 규모의 국채가 발행된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가운데). 6일 중국 남부 광둥성의 광둥 주다오 게스트하우스에서 허리펑 중국 부총리와 양자 회담에서 마주 앉은 모습. 2024.4.6. EPA 연합뉴스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가운데). 6일 중국 남부 광둥성의 광둥 주다오 게스트하우스에서 허리펑 중국 부총리와 양자 회담에서 마주 앉은 모습. 2024.4.6. EPA 연합뉴스

 

 

천문학적이라는 말이 무색한 미국의 정부 부채

 

미 국채는 흔히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미 국채의 판로는 얼마전까지만해도 별 문제가 아니었다. 하지만 제 아무리 미국 국채라고 해도 수요에 비해 공급이 너무 많으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미국 정부는 정기 경매를 통해 채권을 시장해 매각해 사회보장, 국방비 등에 대한 지출을 부분적으로 충당하고 있는데, 팬데믹 여파로 미국 재정적자 규모가 커지면서 경매 규모는 급증하고 있다.

 

미 의회예산국(CBO)에 따르면 미국의 국내 총생산 대비 재정적자가가 올해 5.6%에서 10년 후 6.1%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0년 전 13조달러였던 공공부채는 올해 28조달러, 10년 후에는 48조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증세가 아닌 신규 국채 발행을 통한 국가부채의 폭증은 고스란히 이자부담으로 돌아오는데,  이미 미 정부는 국채 이자를 부담하는데 국방비를 초과하는 예산을 사용 중이다. 조만간 국채이자도 지급하지 못하는 처지로 몰릴 수도 있다는 말이다.

 

 

지금의 인플레이션은 오래가고 강고해

 

구조적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제압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것도 미 국채수익률을 흔들고 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내릴 수가 없기 때문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에 따르면 5월 미국 서비스업,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모두 확장세로 돌아섰다. 뜨거운 고용시장 역시 좀처럼 식을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심지어 최근 워싱턴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식료품·주거·의료 등 기본 생활비만 고려한 ‘체감 인플레이션’은 2021년 초 이후 21.2%에 달했다. 이는 공식 CPI 상승률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보도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절실한 현실은 코로나 이전에 65달러 주고 샀던 제품에 대해 지금은 99달러를 내야 한다. 이는 영세한 소상공인들의 영업을 어렵게 하고, 소비자의 소비를 줄이는 등 연쇄적 파급 영향을 초래한다.

 

 

미 국채수익률이 상승하면 시장금리도 오를 수 밖에 없어

 

눈덩이처럼 쌓이는 미 정부 부채, 공급폭탄이라 해야 할만큼 많은 미국의 신규 국채 발행량, 난공불락을 자랑하는 인플레이션 등이 모두 미 국채수익률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더해 미 국채 투자의 큰 손인 중국과 일본도 미 국채 보유량을 줄이고 있다. 악재가 아닐 수 없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제이미 다이먼 JP모간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한 행사에서 “경기 연착륙이 어려워지면 빚이 많은 기업 등의 부담은 가중될 것”이라며 “많은 사람이 10년 만기 국채가 연 6%인 것을 본 적이 없겠지만 그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의 예측이 적중할지는 알 수 없지만, 분명한 사실은 미 국채수익률이 경향적으로 상승하면 시장금리도 따라서 상승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미 국채수익률의 방향성에 주목해야 하는 까닭이다.

 

 

 

 

<시민언론 민들레 2024년 6월 1일>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