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붕괴되는 매매시장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서울 주요 아파트 단지들의 집값이 추세적인 하락을 이어가고 있다. 일시적인 반등은 있지만 그건 대세하락기에 늘 있었던 현상에 불과하다.
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서울시 양천구 신정동 목동신시가지14단지 전용면적 55㎡(12층)는 지난 4일 9억2900만원에 거래되며 심리적 저항선이라는 10억원이 붕괴됨. 해당 평형이 10억원 밑으로 거래된 건 지난 2020년6월 이후 처음. 충격적인 건 불과 2개월 전 1층이 10억3000만원에 거래됐다는 사실.
또한 이달 2일에는 강동구 상일동 고덕자이 전용면적 84㎡(25층)가 9억3000만원에 거래됨. 입주 첫해인 2021년 7월 16억8000만원으로 최고가를 찍었는데, 1년 반 만에 43.6%가 하락한 것.
송파구라고 예외는 아님. 지난달 30일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 전용면적 84.8㎡(4층)가 18억7000만원에 거래됨. 잠실엘스가 19억원 밑에 거래된 건 지난 2020년6월 이후 2년7개월 만.
시사점
윤석열 정부의 전방위적 규제완화책에 잠시 기력을 회복하는 듯 했던 시장은 이내 하락세로 접어들었음. 최근의 시장은 대세하락 추세시에 잠깐 회복하는 데드캣 바운스(Dead cat bounce)라고 보는 것이 적확할 듯 싶음.
2014년부터 시작해 장장 8년에 걸쳐 진행된 대세상승장이 정점을 찍고 본격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한 것이 불과 작년 하반기부터임. 대세하락장이 1년도 되지 않아서 추세를 바꾸는 일은 발생한 적이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