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기고

총 783개의 글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됐다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됐다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미국 연준이 공격적 기준금리 인상과 양적 긴축에 돌입했다. 우리나라 역시 매달 4%대 물가인상의 압박을 받고 있어, 한국은행도 단계적으로...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공공요금 인상이 몰려온다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공공요금 인상이 몰려온다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줄이은 공공요금 인상은 물가상승과 금리 인상을 불러 가스요금, 전기요금 인상에 이어 교통요금도 오를 전망이다. 우리가 공공요금 인상을 주목해야하는...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계약미분양’이 ‘입주미분양’으로 바뀔 때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계약미분양’이 ‘입주미분양’으로 바뀔 때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부동산시장이 흐름을 예측해주는 바로미터는 청약시장이다. 소량이긴 하지만 서울, 경기도에서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고 있다. 주택시장의 미래가 어두운 이유이다.   ...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둔춘주공 재건축 사업 중단이 시사하는 것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둔춘주공 재건축 사업 중단이 시사하는 것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재건축 시장에 섣불리 뛰어들 때가 아니다 공사비 증액을 둘러싸고 건설사와 주택조합이 대립하다가, 둔촌동 재건축사업이 중단되었다. 원자재가격 폭등으로 늘어난 공사비는...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서울 아파트 시장은 지금 빙하기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서울 아파트 시장은 지금 빙하기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글로벌 금융위기 때를 능가하는 서울 아파트 거래량   지금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빙하기라 하겠다.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을 보면 작년 9월 2,697건, 10월 2,197건으로 급감하더니 급기야 11월 1,362건으로 떨어진 후 12월 1,126건, 올 1월 1,087건, 3월 1,227건에 머물고 있다. 심지어 올 2월에는 810건을 기록했는데 이는 2006년 실거래가 신고 이후 역대 최소건수이다.    1.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슷한 분위기 서울 아파트 월별 거래량 1천...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임대차3법이 무슨 죄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임대차3법이 무슨 죄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임대인과 임차인 간 힘의 비대칭성이 더 심화될 듯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임대차 3법’의 개정과 민간임대 활성화를 천명하고 나섰다. 물론...

[이태경의 토지와 자유] 종부세는 죄가 없다

[이태경의 토지와 자유]    종부세는 죄가 없다    종부세의 ‘폐지’가 아니라 ‘발전적 지양’이 긴절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이번 대선에서 ‘종부세 때문에 민주당이 서울에서 졌다’는 소리가 민주당 일각을 포함해 곳곳에서 들린다. 구별 주택가격과 득표율(주택가격이 비싼...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이명박 정부 때도 비슷했다 – 정부정책만으로 시장의 방향성을 좌우할 순 없어

    [이태경의 부동산 제대로 보기]    이명박 정부 때도 비슷했다 – 정부정책만으로 시장의 방향성을 좌우할 순 없어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윤석열 정부의 출범이 50여일 남았다. 윤석열 당선인이 선거 기간 내내 문재인 정부의 모든 정책을 혹독하게...

[이태경의 토지와 자유] 물가의 향배에 주목할 때

  [이태경의 토지와 자유]        물가의 향배에 주목할 때 인플레이션 압력의 가중은 금리 인상을 불러         이태경 / 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설상가상에 점입가경이다. 물가 얘기다. 그렇지 않아도 오르기만 하는 물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