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소 설립 6주년 11월 5일은 ‘토지가 없으면 자유도 없다’라는 큰 뜻을 품고 연구소를 설립한지 6주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시간입니다. 연구소의 설립일을 맞아 6년간 저희 연구소가 이 사회의 변화에 얼마만큼의 기여를 했고, 또 어떤 부분이 부족했었는지를...
제주연구센터, 3차 연구에 돌입! 작년 말부터 시작한 제주연구센터의 제주연구 2차 과제가 마무리되었습니다. 제주고백교회 목사이면서 세인트하우스(펜션)의 대표인 강민창 님의 후원으로 시작된 이 연구는 토지투기와 난개발과 막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제주도에 지역주민과 자본이 상생할 수 있는 대안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번에...
지난 10월 한 달, 발표된 연구물이 없기는 했지만 저희 연구소는 여전히 바쁜 나날을 보냈습니다. 한번 들어 보시겠어요? 1. 시애틀과 임진각 이번 달에는 여기저기 출타가 많았습니다. 특히 소장님은 7일부터 11일까지 미국 워싱턴주 먼로시에 위치한 안디옥선교훈련원에서 열린 뉴코리아섬김이학교(New Korea Servant...
소설 『흑산』을 통해 우리 시대의 아픔을 보다 최근 김훈의 장편소설 『흑산』 (학고재, 2011) 앞부분을 읽었습니다. 이 소설은 새로운 세상을 열망한 천주교도 정약전과 황사영 등 지식인의 내면을 다룬 것입니다. 당시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조선 사회는 부패한 관료들의 학정에 시달렸으며,...
1. 톨스토이를 조지스트로 만든 책, 『사회문제의 경제학』 역서 출간 한국의 대표적인 조지스트인 대구가톨릭대 전강수 교수가 헨리 조지가 쓴 social problems(1883)를 『사회문제의 경제학』(돌베개)이라는 이름으로 번역 출간하였습니다. 톨스토이가 이 책을 읽고 평생 조지스트가 되었다고 하는 유명한 에피소드가 있을 정도로 이 책은...